Surprise Me!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경기침체 우려에 국제유가 하락…국내 경제 영향은?

2022-08-05 11 Dailymotion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경기침체 우려에 국제유가 하락…국내 경제 영향은?<br /><br />국제 유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 수준인 배럴당 90달러 아래로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산유국들이 원유 증산량을 예상 보다 줄였는데도 가격이 하락한 배경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유가가 내려갔다고 마냥 좋은 건 아니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관련 내용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연일 고공행진하던 국제유가가 하락하고 있습니다. 산유국 연합체인 OPEC+가 바이든 대통령의 요청에도 원유 증산을 10만 배럴로 결정하며 증산 규모를 크게 줄였는데도 가격이 내려간 배경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국제유가가 하락한 이유가 경기 침체 우려 때문이긴 하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유가였던 만큼 물가가 안정될 수 있을지도 궁금한데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미국 연준 인사들이 강력한 긴축 발언을 내보이며 하반기 경기가 악화될 수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. 미국의 긴축과 경기침체 우려가 우리 경제에 어떤 변수가 될까요?<br /><br /> 골목상권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됐던 대형마트 영업 제한이 윤석열 정부의 첫 번째 규제심판회의 논의 대상이 되며 격론이 벌어지고 있습니다. 마트와 상인연합의 입장차가 팽팽한데요. 주요 쟁점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이번 논란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올해로 10년을 맞은 '대형마트 월 2회 의무휴업' 제도의 실효성입니다. 그동안 전통 골목 상권 보호 효과가 어땠다고 보십니까? 정부가 어떻게 접근해야 한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최근 수면장애를 호소할 만큼 열대야가 잦아지면서 숙면을 위해 지갑을 여는 소비자가 늘고 있습니다. 수면과 경제학의 합성어인 '슬리포노믹스'라는 신조어도 등장했는데 현재 수면 시장 규모는 어느 정도 인가요?<br /><br /> 수면 관련 시장이 커지면서 '숙면'을 위한 제품도 진화하고 분야도 확대되고 있습니다. 가구와 식품 등 업계의 트렌드도 바뀌고 있는데 어떻게 달라지고 있나요?<br /><br />#국제유가 #우크라이나 #OPEC+ #원유_증산량 #대형마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